변비 탈출 방법, 비타민 C 메가도스?
페이지 정보

본문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흔히 장 관련 문제를 함께 겪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상당수가 변비, 설사, 복부 팽만 같은 위장관 증상을 경험하는데, 이러한 불편감은 단순히 신체 문제로 끝나지 않고 짜증이나 행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장이 불편할수록 아이가 짜증을 내거나 예민해지는 모습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보호자 입장에서는 더욱 걱정이 될 수밖에 없다.
변비는 단순히 '배변이 힘든 것'이상의 문제다. 장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장내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serotonin)의 균형에도 영행을 미칩니다.
세로토닌이 미치는 영향
세로토닌은 뇌에서도 잘 알려져 있지만, 우리 몸의 90% 이상이 장에서 만들어진다. 장운동을 조절하고, 장의 감각을 조율하는 핵심 신경전달물질이다. 하지만 세로토닌이 너무 많아도, 너무 적어도 장 건강에 좋지 않다.
세로토닌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장이 불편하고 복부 팽만, 짜증이나 불안 같은 정서적 불편감까지 이어질 수 있다. 반대로 부족할 경우 장운동이 원활하지 않아 변비가 심해질 수 있다.
실제로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6)에 실린 논문에서는, 변비 환자에서 세로토닌의 분비와 신호전달의 불균형이 확인되었다고 보고한다. 변비가 있으면 장 내에서 세로토닌이 비정상적으로 쌓이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장운동이 더 느려지는 악순환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변비 해결 방법
여기서 주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비타민 C 메가도스 요법이다.
비타민 C를 고용량으로 섭취하면 장에서 삼투작용을 일으켜 수분이 끌려 들어오고, 이 과정에서 배변이 촉진된다. 단순히 장을 자극하는 자극성 변비약과 달리, 비교적 안전한 원리로 작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변비로 인해 장 속에 세로토닌이 제대로 방출되지 못하고 쌓여 불편감을 주는 상황에서, 비타민 C 메가도스를 통해 장운동을 도와주면 세로토닌의 흐름도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아이가 동일하게 반응하는 것은 아니므로, 특히 자폐 아동처럼 장민감성이 높은 경우에는 전문가와 상담 후 적절한 용량과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장 건강과 변비 개선은 단기적 해결뿐 아니라 장기적인 장내 환경 관리가 함께 이루어질 때 더운 효과적이다. 따라서 비타민 C 메가도스는 필요시 활용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로 이해하고, 아이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다.
참고자료
1) Lincoln J, Crowe R, Kamm MA, Burnstock G, Lennard-Jones JE. Serotonin and 5-hydroxyindoleacetic acid are increased in the sigmoid colon in severe idiopathic constipation. Gastroenterology. 1990 May;98(5 Pt 1):1219-25.
2) Costedio MM, Coates MD, Brooks EM, Glass LM, Ganguly EK, Blaszyk H, Ciolino AL, Wood MJ, Strader D, Hyman NH, Moses PL, Mawe GM. Mucosal serotonin signaling is altered in chronic constipation but not in opiate-induced constipation. Am J Gastroenterol. 2010 May;105(5):1173-80.
3) Sjöstedt P, Enander J, Isung J.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the Gut Microbiome: Significance of the Gut Microbiome in Relation to Mechanism of Action, Treatment Response, Side Effects, and Tachyphylaxis. Front Psychiatry. 2021;12:682868.
4) Ruan S, Li Y, Ning Z, Li Y, Liu Q, Fang W, Jiang X, Luo J, Gao H, To WLW, Zhu L, Lin C, Yuan C, Xiao H, Zhai L, Bian Z. Gut microbe-derived aromatic trace amines mediate individual variability in response to herbal medicine CDD-2101 for functional constipation. Pharmacol Res. 2025 Jul;217:107810.
5) Ma T, Li Y, Yang N, Wang H, Shi X, Liu Y, Jin H, Kwok LY, Sun Z, Zhang H. Efficacy of a postbiotic and its components in promoting colonic transit and alleviating chronic constipation in humans and mice. Cell Rep Med. 2025 May 20;6(5):102093.
- 다음글ASD 아동을 위한 선택지, 낙타우유 25.08.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